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태양으로 부터 방출되는 파장들-감마선 태양은 핵융합이라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많은 전자기파들을 지구로 보내어 지구의 살고 있는 생명체들의 생명의 에너지로써 작용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눈은 이 많은 에너지를 주는 파장들 중 극히 일부인  가시광선만을 인식하도록 되어있으며   수많은 빛과 파장들이 우리 주변에 있지만 우리들은 전혀 보지못하고 인지 못합니다   가시광선이 눈에 보이는 영역은 마치 어두운 방에서 좁은 틈으로 밖을 보고있는것과같아서 아주 좁은 영역의 빛만을 보고있는것이라합니다  그러나 보이지않는 영역의 파장들도 오랜 시간을 걸쳐 더디지만 하나하나 드러나게 되었고 이러한 영역들의 발견들은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파장들 중 가장 빠르고 진동 폭이 좁은 감마선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감마선의 발견감마선은 1896년.. 2024. 4. 1.
카메라의 구조와 눈의 구조 카메라의 구조는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누군가가 눈의 구조를 모방해서 카메라를 발명한 것이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카메라가 처음 발명될 당시에 이러한 구조를 모방해서 발명된 것이 아니고 어두운 방의 조그만 구멍을 통해서 밖의 풍광이 보이는 현상을 보고 그 풍경을 영구히 기록하고자 하는 의도로 아주 오랜 세월에 걸쳐 조금씩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완성된 모습의 카메라를 보면은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카메라는 눈의 구조를 향해 발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눈의 구조와 카메라의 구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각막눈의 가장 앞에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렌즈의 가장 앞에 있는 렌즈에 해당합니다 조리개,홍채카메라의 조리개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원형으로 된 구멍으로 여러 개의 부채꼴.. 2024. 3. 24.
렌즈의 발전과정 최초의 렌즈는 어떤 것이었을까요  현대는 렌즈의 발달로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부터, 저 멀리 펼쳐져있는 천체까지도 관찰하며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의 시작은 빛의 굴절하는 성질을 알게 되고 또 활용하면서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자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서 자연을 모방하기도 하고 응용하기도 하면서 많은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과연 렌즈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지금의 모습에 이른 걸까요렌즈가 처음 만들어져 오늘 날에 이른 과정과 렌즈의 원료, 그리고 렌즈가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알아보겠습니다최초의 렌즈아침의 이슬을 자세히 보면 볼록렌즈처럼 주변의 풍경을 투영해서 보여줍니다  또한 물 컵 속에 젓가락을 넣으면 젓가락이 더 커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대의 사람들도 이러한 현상.. 2024. 3. 22.
'라이카'기업의 시작과 카메라가 탄생한 배경과 역사,그리고 명품 카메라로 라이카는 사진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의 역사를 빛냈던 여러 사진가들이 사용하였던 애장품이었고 '결정적이 순간'(앙리 까르띠에 브래송, 로버트 카파)을 사진에 남길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주었습니다  1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실용성과 함께 미학적인 면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라이카의 시작과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 사진시장에서의 위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라이카의 시발점라이카의 시발점은1849년 독일의 수학자 칼 케르너가 광학연구소와 현미경 제조사 (옵티셰스 인스티튜트) 를  설립하면서부터입니다  이 당시  사진계의 상황은 이미지를 영구히 정착시키는 과정을 상용화시킨 다게르의 은판사진이 발표된 지 10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카메라의 광.. 2024.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