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 카메라의 구조와 눈의 구조 카메라의 구조는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누군가가 눈의 구조를 모방해서 카메라를 발명한 것이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카메라가 처음 발명될 당시에 이러한 구조를 모방해서 발명된 것이 아니고 어두운 방의 조그만 구멍을 통해서 밖의 풍광이 보이는 현상을 보고 그 풍경을 영구히 기록하고자 하는 의도로 아주 오랜 세월에 걸쳐 조금씩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완성된 모습의 카메라를 보면은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카메라는 눈의 구조를 향해 발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눈의 구조와 카메라의 구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각막눈의 가장 앞에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렌즈의 가장 앞에 있는 렌즈에 해당합니다 조리개,홍채카메라의 조리개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원형으로 된 구멍으로 여러 개의 부채꼴.. 2024. 3. 24. 렌즈의 발전과정 최초의 렌즈는 어떤 것이었을까요 현대는 렌즈의 발달로 보이지 않는 미시세계부터, 저 멀리 펼쳐져있는 천체까지도 관찰하며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의 시작은 빛의 굴절하는 성질을 알게 되고 또 활용하면서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자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서 자연을 모방하기도 하고 응용하기도 하면서 많은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과연 렌즈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지금의 모습에 이른 걸까요렌즈가 처음 만들어져 오늘 날에 이른 과정과 렌즈의 원료, 그리고 렌즈가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알아보겠습니다최초의 렌즈아침의 이슬을 자세히 보면 볼록렌즈처럼 주변의 풍경을 투영해서 보여줍니다 또한 물 컵 속에 젓가락을 넣으면 젓가락이 더 커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대의 사람들도 이러한 현상.. 2024. 3. 22. '라이카'기업의 시작과 카메라가 탄생한 배경과 역사,그리고 명품 카메라로 라이카는 사진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의 역사를 빛냈던 여러 사진가들이 사용하였던 애장품이었고 '결정적이 순간'(앙리 까르띠에 브래송, 로버트 카파)을 사진에 남길 수 있는 기술을 만들어주었습니다 1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실용성과 함께 미학적인 면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라이카의 시작과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 사진시장에서의 위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라이카의 시발점라이카의 시발점은1849년 독일의 수학자 칼 케르너가 광학연구소와 현미경 제조사 (옵티셰스 인스티튜트) 를 설립하면서부터입니다 이 당시 사진계의 상황은 이미지를 영구히 정착시키는 과정을 상용화시킨 다게르의 은판사진이 발표된 지 10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카메라의 광.. 2024. 3. 20. 홀로그램의 원리와 기록방식, 그리고 앞으로의 적용분야 홀로그램은 1948년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가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실험하다가 발견했으며 홀로그램의 어원은 그 리이스어로 완전한 (Holos)와 정보(gramma)합성어인데 파장으로 완전한 정보를 그린다는 의미입니다 궁극의 영상 기술로 불리는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빛과 파장의 원리와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 그리고 실생활에서 활용될수있는 홀로그램의 활용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홀로그램의 원리홀로그램의 원리는 빛과 빛이 부딪칠 때 서로의 파장이 겹쳐질 때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체적인 영상을 기록하는 원리를 이해하기위해서는 먼저 빛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과학자들은 빛의 본성이 입자인지 물결이나 소리와 같은 파동인지.. 2024. 3. 19.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