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 보라색 바로 옆의 보이지않는 빛 자외선 자외선은 감마선과 X선과 같이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의 영역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우리의 시각으로는 볼 수 없지만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해있습니다 자외선은 10nm~40nm의 파장을 가지며 주파수는 750 THz ~30 THz이며 감마선, X선 다음으로 파장이 짧고 빠릅니다 가시광선인 보라색 바로 위의 파장이라고 해서 한자로 자외선이라고 칭했다고 합니다 영어로는 UV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UltraViolet rays의 줄임말이라고 합니다 자외선은 주로 피부노화의 주범으로 많이 인식하고 있는데 일조량이 적은 영국이나 북유럽과 같은 곳에서는 햇볕이 조금만 비춰도 일광욕을 즐긴다고 합니다 이렇게 우리를 즐겁게 하면서도 조심해야 하는 자외선을 처음 발견한 사람과 자외선의 종류, 그리고 특징, 자외선차단제의.. 2024. 4. 3. 'X'라 불린 미지의 광선 X선은 지구로 오는 여러 가지 파장 중에서 감마선 다음으로 빠르고 에너지가 높은 파장입니다 초기에 X선이 사람의 뼈까지도 투과해서 찍을 수 있다고 했을 때 사람들은 너무나 놀라서 이 기이한 현상에 호기심을 갖기에 앞서 두려워했다고 합니다 '모든 것을 투과해서 볼 수 있는 빛' 정보가 한정돼 있던 시대에 사람들이 얼마나 놀라워했을지 짐작이 갑니다 그러나 X선은 인류에 큰 선물을 안겨주었는데 독일의 국립박물관에 있는뢴트겐 기념비에는 이렇게 적혀있다고합니다 "뢴트겐선은 의학자에게 인체의 내부를 보여주고 기술자에게는 재료의 본질을 가르쳐주며 과학자에게는 원자의 내부를 알게하였다" 발견 초기 미스테리한 광선으로 사람들의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가지게 했던 X선의 발견과 생성되는 원리, 특징, 현대의 활용도와 차.. 2024. 4. 2. 태양으로 부터 방출되는 파장들-감마선 태양은 핵융합이라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많은 전자기파들을 지구로 보내어 지구의 살고 있는 생명체들의 생명의 에너지로써 작용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눈은 이 많은 에너지를 주는 파장들 중 극히 일부인 가시광선만을 인식하도록 되어있으며 수많은 빛과 파장들이 우리 주변에 있지만 우리들은 전혀 보지못하고 인지 못합니다 가시광선이 눈에 보이는 영역은 마치 어두운 방에서 좁은 틈으로 밖을 보고있는것과같아서 아주 좁은 영역의 빛만을 보고있는것이라합니다 그러나 보이지않는 영역의 파장들도 오랜 시간을 걸쳐 더디지만 하나하나 드러나게 되었고 이러한 영역들의 발견들은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파장들 중 가장 빠르고 진동 폭이 좁은 감마선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감마선의 발견감마선은 1896년.. 2024. 4. 1. 카메라의 구조와 눈의 구조 카메라의 구조는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누군가가 눈의 구조를 모방해서 카메라를 발명한 것이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카메라가 처음 발명될 당시에 이러한 구조를 모방해서 발명된 것이 아니고 어두운 방의 조그만 구멍을 통해서 밖의 풍광이 보이는 현상을 보고 그 풍경을 영구히 기록하고자 하는 의도로 아주 오랜 세월에 걸쳐 조금씩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완성된 모습의 카메라를 보면은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카메라는 눈의 구조를 향해 발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눈의 구조와 카메라의 구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각막눈의 가장 앞에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렌즈의 가장 앞에 있는 렌즈에 해당합니다 조리개,홍채카메라의 조리개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원형으로 된 구멍으로 여러 개의 부채꼴.. 2024. 3. 24. 이전 1 ···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