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홀로그램의 원리와 기록방식, 그리고 앞으로의 적용분야 홀로그램은 1948년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가 전자현미경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실험하다가 발견했으며 홀로그램의 어원은 그 리이스어로 완전한 (Holos)와 정보(gramma)합성어인데 파장으로 완전한 정보를 그린다는 의미입니다 궁극의 영상 기술로 불리는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빛과 파장의 원리와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 그리고 실생활에서 활용될수있는 홀로그램의 활용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홀로그램의 원리홀로그램의 원리는 빛과 빛이 부딪칠 때 서로의 파장이 겹쳐질 때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체적인 영상을 기록하는 원리를 이해하기위해서는 먼저 빛의 성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과학자들은 빛의 본성이 입자인지 물결이나 소리와 같은 파동인지.. 2024. 3. 19.
니콘 카메라의 시작과S시리즈, F시리즈, D시리즈, 미러리스와 현재 니콘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카메라의 브랜드로서 오래된 역사와 함께 뛰어난 품질과 성능을 자랑합니다 사진과 카메라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니콘이라는 회사에 대해서 한 번쯤은 궁금해지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니콘이라는 대기업의 시작과 출시하였던 카메라와 함께 발전해 왔던 역사 그리고 현재의 니콘에 대해서 포스팅하려합니다 니콘의 시작 니콘은 1917년 일본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일본은 제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의 군사력과 군수장비(망원경, 라이코스코프, 잠망경, 폭격조준계)들의 기술력을 보고 자극을 받았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광학기술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일본은 당시의 군수산업기업이었던 미쓰비시에게 광학기술에 관련된 기업을 만들 것을 요청하였고 이후 미쓰비시는 '후지이 렌즈 제조소'등 3 회사를 병합하여 .. 2024. 3. 18.
디지털카메라의 APS 사이즈란 무엇이며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디지털카메라에서 필름에 해당하는 이미지센서의 크기는 여러 종류인데 필름카메라의 필름사이즈(35mm)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의 센서를 풀프레임이라 하고 이 보다 적은 센서를 크롭(crop) 바디라 합니다 크롭바디의 사이즈 규격을 표현할 때 aps(advanced photo System)란 용어를 사용하는데 APS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조금 생소한 카메라 용어라서 언제부터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였는지 알아보고 APS 포맷의 종류와 특성까지 알아보겠습니다 APS규격의 등장 APS(Advenced photo system) 필름의 등장은 1990년 대 캐논, 미놀타, 니콘, 후지, 코닥이 공동으로 개발하였는데 '세계 표준 규격의 새로운 사진 시스템'이라는 뜻입니다 100여년동안 사용하던 35mm 롤필름의 단점을.. 2024. 3. 16.
풀프레임과 크롭바디 카메라의 장단점 풀프레임과 크롭바디는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센서인데 이미지는 센서는 사진의 화질을 결정짓는 가장 큰 요소입니다 그래서 카메라를 구입할 때 가장 먼저 이미지센서의 크기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미지 센서 크기는 크게 풀프레임과 크롭바디로 나뉩니다 풀프레임은 35mm 필름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사이즈이고 크롭바디는 35mm 필름 (24 mm×36mm)을 잘라 작게 축소시켜서 (crop) 사용하는 센서입니다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사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풀프레임 이미지센서 ※장점 ●풀프레임 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은 이미지 센서가 커서 많은 양의 빛을 확보할수있기때문에 해상력이 높고 피사체의 밝기의 분포가 넓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진을 보았을 때 좋은 사진의 이미지를.. 2024.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