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카메라에서 필름에 해당하는 이미지센서의 크기는 여러 종류인데 필름카메라의 필름사이즈(35mm)를 기준으로 동일한 크기의 센서를 풀프레임이라 하고 이 보다 적은 센서를 크롭(crop) 바디라 합니다 크롭바디의 사이즈 규격을 표현할 때 aps(advanced photo System)란 용어를 사용하는데 APS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에서는 조금 생소한 카메라 용어라서 언제부터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였는지 알아보고 APS 포맷의 종류와 특성까지 알아보겠습니다
APS규격의 등장
APS(Advenced photo system) 필름의 등장은 1990년 대 캐논, 미놀타, 니콘, 후지, 코닥이 공동으로 개발하였는데 '세계 표준 규격의 새로운 사진 시스템'이라는 뜻입니다 100여년동안 사용하던 35mm 롤필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든 필름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축소된 필름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발달된 광학의 기술이 있었기때문이라고합니다 당시의 렌즈의 수준이 전문적인 사진이 아닌 보편적인 사진을 찍기에는 작은 사이즈의 필름으로도 충분했기에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APS필름은 카트리지형식인데 후면에 마그네틱 밴드가 있어서 촬영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었고 사진의 촬영조건과 필름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가장 좋은 설정모드로 적용해 주는 기능등이 있어서 APS라는 이름대로 기존의 35mm 롤필름에서 '진일보한 필름'이었다고 합니다
35mm필름이 당시 다른 사진들과 구별하기위해서 135 필름이라고 통용돼서 불렸었는데 APS필름도 가로의 폭이 24mm였기때문에 240 필름이라고 불리기도하였습니다
APS규격의 필름은 3개의 프레임으로 나뉘어 출시되었는데 APS-H, APS-C, APS-P 사이즈입니다(아래 부분 참조) 필름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카메라의 크기와 무게도 줄어들어 휴대성마저 있었기때문에 초기의 APS필름은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어 1996년에는 APS필름과 더불어 카메라, 현상인화 장비들까지 나왔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필름을 무한 반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가 등장하면서 APS필름은 급속하게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필름 자체는 사라졌으나 규격으로써 자리잡게된 이유는 초기 비용이 많이 드는 디지털카메라의 풀프레임 이미지센서를 제작하는데 부담을 느낀 카메라제작사들이 크롭바디 사이즈의 이미지센서를 많이 만들어내면서 APS는 크롭바디카메라의 이미지센서 크기를 나타내는 규격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세계카메라 시장의 역사는 이렇게 35mm 롤필름에서 APS규격으로, 그리고 디지털로 바뀌는 과정이 있었지만 APS필름이 들어올 당시 우리나라는 IMF 상태라서 카메라 시장이 죽은 상태였었기때문에 APS필름이 보급되지 못하는 상황이었었고 이후 카메라 시장은 디지털로 급격히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APS필름을 접해본 사용자가 많이 없었을뿐더러 APS규격의 필름에 대한 정보를 전혀 모르던 상태에서 디지털카메라가 카메라 시장을 대체하면서 그냥 크롭바디의 이미지센서를 가리키는 용어로만 정확한 인식없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APS필름의 종류
APS필름의 사이즈는 크게 3가지 포맷의 크기로 구분되었습니다
●APS-H(high)→30.2 ×16.7mm, 종횡비 16:9
APS필름의 가장 기본 되는 사이즈로 35mm(36 ×24) 필름에 비해서 약간 축소된 크기입니다
●APS-C(classic)→25.1 ×16.7mm, 종횡비 3:2
APS-H 사이즈에서 좌우로 자른 사이즈인데 35mm 필름과 화면비율(3:2)이 같습니다
●APS-P(panoramic)→30.2 ×9.5mm, 종횡비 3:1
APS-H사이즈를 위아래로 자른 사이즈입니다 파노라마 사진과 같이 세로보다 가로의 폭이 넓은 형식입니다
APS필름의 특징
●사진 찍은 날짜, 시각, 인화사이즈등의 촬영정보를 필름에 코팅된 매그네틱선에 기록합니다
●밀폐형 카트리지이기 때문에 사용 중이던 필름을 바꾸어 촬영할 수 있습니다
●필름에 빛이 들어가서 필름을 못 쓰게 되는 위험성이 없습니다
●다 사용한 필름은 다시 카메라에 넣을 수 없으므로 같은 필름으로 이중노광할 위험성이 없습니다
● 카트리지형이기 때문에 현상과 인화가 매우 편리하며 촬영된 사진을 선택적으로 인화해서 잘라낼 수 있다고 합니다
●35mm 필름은 다 같은 규격의 필름이지만 APS필름은 여러 사이즈이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필름사이즈가 줄어든 만큼 카메라 본체의 크기와 무게도 줄어들어 휴대성이 좋습니다
그러나 화면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35mm에 사용하던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화각은 좁아집니다
결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디지털카메라의 크롭바디 센서의 크기는 거의 대부분은 APS-C 프레임을 채택하여 사용하고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APS필름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에 잘 모르고 지칭하던 현재 크롭바디 카메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APS (advanced photo System) 규격의 탄생배경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