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보이지 않는 세계를 여는 문- 양자와 끈이 말하는 새로운 우주 우리는 언제나 우리의 기준에 맞추어서 보고, 듣고, 느끼며 살아갑니다 마치, 나뭇잎을 먹고 살아가는 애벌레처럼 우리도 우리에게 주어진 환경 속에서 세상을 인식하며 그 틀 안에서 머물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미지의 세계를 향한 끝없는 호기심이 있습니다 한 때 인류는 가시광선만을 "빛"이라고 생각하며 살았지만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우리가 보고 있는 빛은 감마선,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로 이루어진 전자기파의 스펙트럼 중 극히 일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시각으로 빛을 보는 영역은 어두운 방에서 조그만 틈 사이로 보는 풍경과 같다고 합니다 전기도 아주 오랜 시간 동안 감춰져 있던 영역이었지만 정전기 현상을 보면서 인류는 전기라는 존재를 감지하게 되었고.. 2025. 5. 30.
AI의 창조자들-인공지능은 누구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아주 오래전 AI라는 영화를 아주 인상 깊게 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그 영화를 보면서 인간은 피조물인가, 창조자인가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였던 것 같습니다 기독교에서는 사람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피조물이라고 하는데 오늘날 그 사람은 또 다른 피조물을 창조해내고 있습니다 인류의 많은 기술들은 모두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환경을 관찰하고 탐구하며 창조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AI가 탄생하게된 배경과 인공지능이 발전해 온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간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가인류의 초기부터 인간은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이유에 대한 깊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고대의 해부학자들은 죽은 시신을 해부하여 신경의 줄기들을 찾아내기도 하였는데 그들은, 이 신경이라는 통로를 따라 .. 2025. 5. 25.
암호의 역사와 변천사 예전 속기를 배운 적이 있습니다 빠르게 대화를 기록한다는 것에 호기심을 느껴서 배웠지만 일상 대화를 모두 기록하는 수준까지는 가지 못했고 무언가를 메모할 때 나만 알고 싶은 단어를 사용하고 싶을 때 속기를 사용하였던 적이 많이 있습니다 남들이 알아보지 못하는 문자를 기록한다는 것에 묘한 뿌듯함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한 개인도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위해서 암호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 나라의 중대한 기밀을 다룰 때는 더 많은 필요성을 느꼈을 것입니다 고대에는 나라의 중요한 일이나 기밀한 정보를 위해서 제한된 사람들만이 사용했었지만 현대의 암호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대에서부터 사용했던 암호와 근대를 거쳐 현대의 암호화의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대의 암호●.. 2025. 5. 10.
암호화의 과학-내 데이터는 어떻게 보호되는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리가 주고받는 정보는 마치 편지를 봉투에 넣지 않고 공중에 띄워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해커들은 이 틈을 노려 우리의 소중한 정보를 훔쳐가기도 합니다그래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은 인터넷 세상에서는 꼭 필요한 장치입니다해커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 정보들을 탈취하려고 하는데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해서 해킹하는 방법에 대해서는이 전 글에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누군가가 정보를 중간에 가로챘더라도 데이터를 해독하지 못하면 우리의 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주고받는 정보를 다른 사람이 알아볼 수 없게 복잡한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데이터 암호화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 오늘 4시에 어디서 만나요"라는 메시지를 그냥 인터넷으로 보내면 중간에서 누군가가 가로.. 2025.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