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암호의 역사와 변천사 예전 속기를 배운 적이 있습니다 빠르게 대화를 기록한다는 것에 호기심을 느껴서 배웠지만 일상 대화를 모두 기록하는 수준까지는 가지 못했고 무언가를 메모할 때 나만 알고 싶은 단어를 사용하고 싶을 때 속기를 사용하였던 적이 많이 있습니다 남들이 알아보지 못하는 문자를 기록한다는 것에 묘한 뿌듯함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한 개인도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위해서 암호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 나라의 중대한 기밀을 다룰 때는 더 많은 필요성을 느꼈을 것입니다 고대에는 나라의 중요한 일이나 기밀한 정보를 위해서 제한된 사람들만이 사용했었지만 현대의 암호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대에서부터 사용했던 암호와 근대를 거쳐 현대의 암호화의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대의 암호●.. 2025. 5. 10.
암호화의 과학-내 데이터는 어떻게 보호되는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리가 주고받는 정보는 마치 편지를 봉투에 넣지 않고 공중에 띄워 보내는 것과 같습니다 해커들은 이 틈을 노려 우리의 소중한 정보를 훔쳐가기도 합니다그래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은 인터넷 세상에서는 꼭 필요한 장치입니다해커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 정보들을 탈취하려고 하는데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해서 해킹하는 방법에 대해서는이 전 글에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누군가가 정보를 중간에 가로챘더라도 데이터를 해독하지 못하면 우리의 정보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주고받는 정보를 다른 사람이 알아볼 수 없게 복잡한 방식으로 바꾸는 과정을 데이터 암호화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 오늘 4시에 어디서 만나요"라는 메시지를 그냥 인터넷으로 보내면 중간에서 누군가가 가로.. 2025. 5. 6.
공공와이파이 해킹의 원리-데이터는 어떻게 탈취되는가 지하철이나 도서관, 카페 같은 곳에서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할 때 내 데이터가 해킹될 수 있다는 이야기 들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어떻게 해킹되는지, 왜 공공장소의 와이파이가 위험한지에 대해서는 막연한 불안감만 가지고 있을 뿐 정확한 원리는 잘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 일 것 같습니다그러나 와이파이의 원리를 이해하고 해커들이 사용하는 방법 등을 알고 예방할 수 있다면 보다 안전하게 데이터를 지키면서 통신활동을 있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와이파이란 무엇인가부터 시작해서, 해커가 어떻게 데이터를 가로채는지, 그리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와이파이의 원리 와이파이란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해 주는 기술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와이파이는 전자기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2025. 5. 5.
유심칩의 역할과 유심해킹 예방 방법 최근 SKT의 유심정보가 숨겨져 있던 악성 코드의 공격으로 일부 유출되었다고 발표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SKT는 가입자 전원에게 유심칩을 무료로 교체해 준다고 하며 또한 유심서비스 가입도 무료로 지원해주고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들에게 유심칩은 그냥 스마트폰 교체할 때 기기와 함께 바꿔주는 정도의 조그만 플라스틱 조각으로만 생각되고있었는데 이 번 사건을 통해서 유심칩도 개인정보 보안의 대상임을 새롭게 인식시켜 주는사건이었던것같습니다 1. 유심카드란 무엇일까유심카드는 (USIM)는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약자이며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뜻합니다외국에서는 SIM 카드라고 불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유심카드라고 주로 부르며 사용자와 .. 2025.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