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2 스마트폰 카메라의 작동 원리와 화소수와 화질의 관계 현대는 빛을 이용할 줄 알게 되면서 그야말로 과거의 인류가 보면 거의 신의 영역을 이루었다 할 정도로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스마트폰은 현대 과학기술 문명의 초절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손으로 휴대하며 가지고 다니며 무선으로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통신과 전화, 그리고 영상까지 합쳐져서 그야말로 이 전에는 생각할 수도 없었던 삶을 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는 많은 기능이있지만 그중에서도 스마트폰을 가장 화려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영상의 기능일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영상을 만들어내는 원리와 그리고 보다 생생한 화질을 만들어내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화소수와 이미지센서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폰카메라가 영상을 만들어내는 원리●렌즈 먼저 스마트폰 가장 위 쪽의 구멍 속.. 2025. 2. 6. 카메라의 구조와 눈의 구조 카메라의 구조는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누군가가 눈의 구조를 모방해서 카메라를 발명한 것이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카메라가 처음 발명될 당시에 이러한 구조를 모방해서 발명된 것이 아니고 어두운 방의 조그만 구멍을 통해서 밖의 풍광이 보이는 현상을 보고 그 풍경을 영구히 기록하고자 하는 의도로 아주 오랜 세월에 걸쳐 조금씩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완성된 모습의 카메라를 보면은 눈의 구조와 너무나 흡사해서 카메라는 눈의 구조를 향해 발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눈의 구조와 카메라의 구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각막눈의 가장 앞에 있는 투명한 조직으로 렌즈의 가장 앞에 있는 렌즈에 해당합니다 조리개,홍채카메라의 조리개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원형으로 된 구멍으로 여러 개의 부채꼴.. 2024. 3. 24. 이전 1 다음